용접원(용접기조작원)
용접원 | 설치·정비·생산직
comment
각종 기계나 금속구조물 및 압력용기 등을 제작하기 위하여 전기, 가스 등의 열원을 이용하거나 기계적 힘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용접장비 및 기기를 조작하여 금속과 비금속 재료를 필요한 형태로 융접, 압접, 납땜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직업훈련기관이나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용접이론과 기술을 습득하면 용접원(용접기조작원)으로 일할 수 있다.또한, 고급 기술을 익히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의 용접관련 학과에 진학할 수도 있다.이 외에도 대학의 기계학과나 금속학과, 조선학과 등에서도 용접 이론, 설계, 기술 등을 일정 부분 습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 직무 관련 역량
- 기계공학과용접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 기술사(국가기술)
- 일자리현황
- 용접공 경력직 채용공고
(주)삼신
주5일근무 정규직
연봉 4,500만원 ~
제관, 아크, co2 용접,알루미늄 용접사 구합니...주식회사 승본산업
주6일근무 정규직
월급 300만원
ROBOT 용접부서 정규직 사원채용동신금속(주)
주5일근무 정규직
연봉 3,300만원 ~
CO2 용접원 구인(주)주원엔지니어링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325만원
제관 및 알곤용접원 모집주식회사한성테크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300만원 ~
CO2 용접원 모집주식회사부광플랜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250만원
용접 사상 조립원 정규직 사원 모집 합니다.(주간...주식회사대도
주5일근무 정규직
연봉 3,200만원 ~
TS-TECH와 성장할 기술자를 모집합니다.티에스테크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230만원 ~
엘리베이터 생산파트 모집한진엘리베이터 (주)
주5일근무 정규직
연봉 3,500만원
-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용접원(용접기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용접은 기초산업에서부터 최첨단산업 분야에 이르기까지 전체 산업에 두루 사용되는 기술로, 용접산업은 제조업 전반에 걸쳐 기반성과 연계성이 높고 소재산업과 완제품 조립산업의 연계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용접원이 주로 활동하는 기계, 조선, 자동차 등의 산업 동향에 따라서 용접원(용접기조작원)에 대한 인력 수요도 변화할 것이다.용접산업이 점차 기계자동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수동용접의 수요는 감소하고 있다.조선 산업의 경우 자동화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반면, 타 산업에서는 빠른 속도로 기계자동화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한편, 최근 용접기술이 포함된 뿌리산업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뿌리산업은 주조, 금형, 용접, 소성가공, 표면처리, 열처리의 ‘공정기술’을 활용하여 사업을 영위하는 업종으로 과거 사양산업 또는 3D산업 등 첨단산업과 대별되는 산업으로 인식되어 생산기반기술로서의 핵심적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중요성이 부각되지 못했다.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독일과 일본, 미국과 영국 등 선진국들은 제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였고 3D에서 ACE(Automatic + Clean + Easy)로 산업화하고자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이러한 뿌리산업에 대한 인식개선은 용접원(용접기조작원)의 근무 여건에 다소나마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