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학연구원
생명과학 연구원 및 시험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comment
생물체의 기관, 조직 및 생명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의약품 및 기타 물질의 효과를 연구하여 의약품을 연구·개발한다.
약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생물학과, 생물공학과, 생명과학과, 생명공학과, 유전공학과, 농업생명과학과, 의·약학계열 등 관련 학과의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다.대학원 과정에서 자신이 관심 있는 세부 전공을 집중적으로 공부하고 연구원이 되면 보통 석사과정의 세부전공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학생 시절 다양한 연구에 참여하여 관련 논문을 저널에 제출하는 등 연구 경력을 쌓는 것이 필요하며, 연구보조원으로 일해보거나 일부 정부출연연구소에서 시행하고 있는 현장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하면 관련 기관의 입직 시 많은 도움이 된다.
- 직무 관련 역량
- 생명과학과
- 일자리현황
- (재)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2025년 제4차 직원채...
재단법인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주5일근무 기간제
연봉 3,000만원 ~
(주) 셀릭스 생명공학 연구원 모집(주) 셀릭스
주5일근무 정규직
연봉 3,000만원
석사급 이상 연구원 모집주식회사 머티리얼랩
주5일근무 정규직
연봉 3,000만원 ~
KAIST [뇌인지과학과] 기간제 근로자 [시간제...한국과학기술원
기간제
월급 52만원 ~
농산물 품질관리 컨설턴트 모집이시도르지속가능연구소주식회사
주5일근무 기간제
월급 230만원 ~
무진장축협 기능직(가축개량) 채용무진장축산업협동조합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240만원 ~
바이오소재 기능성평가 연구원 모집<지고촉희망...주식회사 메디
주5일근무 정규직
연봉 2,600만원 ~
산림분야 설계 및 감리(주)한솔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300만원 ~
산림기사 모십니다.고원이앤에스 주식회사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300만원
-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약학연구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세계 의약품시장은 2005년 이후 연평균 6%대의 안정적 성장세를 유지, 2016년 1조 1,000억 달러(약1,260조원) 규모를 형성하고 있다.앞으로도 연 평균 4~7%의 성장속도를 보이며 2020년 최대 1조 4,300억 달러(약 1,650조원) 규모의 시장으로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글로벌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지만 최근 5년간 미국을 비롯한 EU 5개국, 일본 등 선진 제약 시장은 연평균 3~6%의 성장률을, 특히 중국과 브라질 등 파머징 국가의 제약시장은 연 평균 10% 이상의 고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우리나라도 바이오 제약, 바이오 에너지, 뇌 과학 등 첨단생명공학기술 개발과 바이오산업 육성에 국가적 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부가가치 창출이 유망한 바이오 분야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정부의 정책 때문에 특히 줄기세포 연구, 뇌 연구 및 신약 개발이 활성화될 것이다.따라서 생명공학산업의 기반이 될 각종 기초연구와 응용연구를 수행하는 약학연구원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